[정보] 차량가액. 공공 분양/임대의 갈림길!! 보험개발원과 복지로는 차이가 있을까?

728x90
보험개발원과 복지로에서 모두 조회가 가능한 차량 가액. 과연 그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다.

 
안녕하세요. 오늘은 국내에서 차량 가액 조회를 위해 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방법인
‘보험개발원’과 ‘복지로’의 조회 결과를 비교해 보려고 합니다.🤔
 
두 플랫폼 모두 차량 가액 정보를 제공하지만,
조회 결과의 금액이 같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이번 글의 핵심입니다.
 
이 글에서는 각 방법의 특징과 사용법, 그리고 조회된 결과를 실제로 비교하여
차량 가액 산정에서 두 플랫폼 간 차이가 있는지,
혹은 동일한지 분석해 보겠습니다.
이를 통해 차량 가액 조회의 더 나은 선택을 돕고자 합니다.
 

etc-image-1

 
그럼, 함께 살펴보시죠!
 

보험개발원 조회 방법

먼저 구글이나 네이버와 같은 포털에서 '보험개발원'을 검색해 줍니다.
 
 

etc-image-2

보험개발원 홈페이지 메인에서 바로 차량기준 가액 페이지를 들어갈 수 있습니다.

etc-image-3etc-image-4

 
차량 가액 조회 페이지를 들어가면 아래 사진과 같이 ①~③ 순서로 선택한 후, 검색할 수 있습니다.
(※ 6. 세부 분류는 필수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선택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)

etc-image-5

아래 표와 같이 선택한 대로 조회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etc-image-6

 

복지로 조회 방

복지로도 마찬가지로 포털에서 검색합니다.

etc-image-7

상단 메뉴 '복지서비스' - '기초연금' 으로 들어갑니다.

etc-image-8

사회보장차량기준가액(조회하기) 메뉴로 진입합니다.

etc-image-9

차량명, 연식을 필수로 입력하고 검색합니다.

etc-image-10

아래와 같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etc-image-11

그래서.. 비교 결과는?

 
국산과 외산중 한 모델씩 선택하여 조회해 보겠습니다.
먼저 2023년식 국산차 '디올뉴그랜져 1.6터보' 모델을 기준으로 검색해 보았습니다.
 
보험개발원에서 조회한 자료는 3가지 트림별로 조회가 되었고,
익스클루시브 3577만원, 캘리그래피 3882만원, 프리미엄 3209만원으로 조회 되었습니다.

etc-image-12

 
반면 복지로는 트림별 구분 없이 3882만원으로 조회가 되었습니다.

etc-image-13

 
아마 트림 중, 가장 고가의 트림의 가액을 보여주는것 같습니다.
 
외산 모델중에는 어떨까요?
볼보 XC60 모델을 조회해 보겠습니다.
 
보험개발원은 4가지 트림에 대해서 조회가 되었습니다.

etc-image-14

 
복지로는 어떨까요?
동일하게 트림별로 모두 조회가 된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
etc-image-15

 

결론

 
사실 보험개발원에서는 조회 횟수에 제한이 있는 관계로
여러번 조회하는것은 불가능하다는 너무나 큰 단점이 있었습니다.(VPN 을 쓰면 계속 조회 가능....)
 
하지만 복지로를 통해 차량가액을 조회할 수 있게 되어
임대 주택에 살고 있는 입장에서는 꽤나 반가운 소식이었는데요.
 
이렇게 두개의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차량가액에 대해 동일하게 출력해 주는 경우도 있고,
아닌경우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.
 
그렇다고 두번씩 조회할수도 없는 노릇이므로
이렇게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 
먼저는 복지로에서 원하는 차량 가액에 대해 조회한 후,
더 상세히 조회를 원할 경우, 보험개발원에서 2차로 조회 하는 방법으로 하시면
조금더 정확하게, 그리고 원하는 정보를 얻어 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 


오늘은 보험개발원과 복지로를 통해 차량가액을 조회하는 방법과
조회 결과를 비교해 보았는데요.
 
차량 가액 관련해서 찾아보고 계신분들에게
이 정보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^^
 
긴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.

반응형